1. 태양 중심설(지동설)의 주장
- 기원전 4세기경 아리스타르코스가 처음 주장
- 16세기 말 코페르니쿠스가 확립
2, 태양 중심설(지동설)
- 우주의 중심은 지구가 아니라 태양이며, 태양을 중심으로 수성, 금성, 지구, 화성, 목성, 토성 순으로 원을 그리며 공전한다.
- 지구는 하루를 주기로 자전하며, 달은 지구의 주위를 공전한다.
- 행성들의 역행 현상은 지구와 다른 행성들의 공전 속도 차이 때문에 나타난다. (태양에서 멀수록 행성들의 공전 속도가 느려진다는 사실로 설명)
- 수성과 금성은 지구의 공전 궤도보다 안쪽에 있기 때문에 태양에서 일정한 각도 이상 멀어지지 않는다. ➞ 내행성의 최대 이각 설명
3. 지동설의 한계
- 행성들이 완전한 원운동을 한다고 설명하였다.
- 천동설에서와 마찬가지로 별들이 고정된 채로 천구에 붙어 있다고 생각하였다.
1. 목성의 위성 관측
- 갈릴레이가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 둘레를 도는 4개의 위성(갈릴레이 위성) 발견하였다.
➞ '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.'는 천동설을 반박
◇갈릴레이 위성 :가니메데, 칼리스토, 이오, 유로파
2. 금성의 위상 변화 관측
- 천동설에서는 금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만 존재하므로 반달 이상의 위상을 가질 수 없으나,갈릴레이는 망원경을 통해 보름달과 유사한 모양의 위상을 관측했다.
3. 항성의 연주 시차
- 연주 시차는 지구의 공전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지동설로만 설명이 가능하다. ➞ 지구가 공전한다는 확실한 증거
◇ 천동설과 지동설에서의 금성의 위상 변화
천동설에 의하면, 금성은 지구와 태양 사이에 놓인 주전원 위에서만 움직이므로 금성의 위상이 초승달과 그믐달 모양만 반복해 나타날 뿐 반달 이상의모양은 나타날 수 없다. 갈릴레이의 관측으로 볼 수 있는 반달과 보름달 사이의 모양이 나타나려면 지구에서 볼 때 금성이 태양 뒤편에 있어야 하므로, 지동설 모형이 옳다는 증거가 된다. 그리고 천동설에서는 지구와 금성 사이의 거리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실제 보이는 것만큼의 크기 변화를 설명하기 어렵다. |
관련문제
문제
01
그림 (가)와 (나)는 천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두 가지 우주관을 나타낸 것이다. 그림 (가)에서는 설명할 수 없지만, 그림 (나)에서는 설명할 수 있는현상을 <보기>에서 모두 고른 것은?
<보기>
<보기> ㄱ. 수성의 최대 이각이 금성의 최대 이각보다 작다. ㄴ. 화성이 때때로 천구 상에서 역행을 한다. ㄷ. 금성의 위상이 보름달 모양에 가까울 때가 있다. ㄹ. 가까운 별들의 연주 시차를 측정할 수 있다. |
선택지
① ㄱ, ㄴ
② ㄴ, ㄷ
③ ㄷ, ㄹ
④ ㄱ, ㄴ, ㄷ
⑤ ㄴ, ㄷ, ㄹ
정답 :
③
해설 :
천동설에서는 금성이 항상 지구와 태양 사이에만 위치하므로 보름달에 가까운 모양의 위상이 나타나는 것을 설명할 수 없다. 또한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별의 연주 시차가 생길 수 없다.
그림 (가)와 (나)는 각각 천동설과 지동설을 나타낸다. 천동설에서는 금성이 항상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보름달 모양에 가까운 금성의 위상을 설명할 수 없다. 보름달 모양에 가까운 금성의 위상은 지동설에서만 설명된다.
ㄱ. 천동설에서는 금성의 최대 이각이 수성의 최대 이각보다 큰 이유를 주전원의 크기 차이로 설명했고, 지동설에서는 공전 궤도의 크기 차이로 설명했다.
ㄴ. 화성의 역행 현상은 천동설과 지동설 모두에서 설명된다.
문제
01
갈릴레이의 천체 관측 결과들 중에서 천동설을 가장 효과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두가지를 <보기>에서 바르게 고른 것은?
<보기>
<보기> ㄱ. 금성이 보름달 모양으로 보인다. ㄴ. 은하수는 수많은 별들의 집단이다. ㄷ. 달에는 많은 운석 구덩이가 존재한다. ㄹ. 목성의 둘레를 공전하는 위성이 존재한다. |
선택지
① ㄱ, ㄴ
② ㄱ, ㄷ
③ ㄱ, ㄹ
④ ㄴ, ㄹ
⑤ ㄷ, ㄹ
정답 :
③
해설 :
위상이 보름달과 유사하게 보이는 금성은 천동설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으며, 목성 주위를 도는 위성의 발견은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돈다는 천동설의 입장에 위배된다.
갈릴레이는 보름달과 유사한 모양의 금성을 관측하였는데, 이는 금성이 항상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천동설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. 또한, 목성의 주위를 도는 위성들을 발견했는데, 이는 당시의 모든 천체는 우주의 중심인 지구 주위를 돌아야 한다는 천동설의 입장에 위배되는 현상이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