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속옷
▶ 예전에는 위에는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입고, 아래에는 여러 가지 속곳과 바지를 입었으나, 요즈음에는 위에 메리야스를 입고, 아래에는 속바지와 속치마를 입음
2. 여자 한복 아래 속옷입는 순서
다리속곳 → 속속곳 → 바지 → 단속곳→속치마→겉치마 |
3.여자 한복 속치마의 종류
- 무지기치마 : 길이가 다른 다섯층의 천을 붙여서 만든 것으로, 치마 속에 입어 치마가 부풀어 보이도록 함
- 대슘치마 : 예복용 치마를 입을때 입는 속치마로서, 밑단에 4~10cm 정도 풀을 먹인 모시나 천으로 감싼 창호지를 덧붙여서 치마의 폭이 밑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함
1. 통치마
▶ 길이는 짧게 하고 치마폭을 다 박아서 원통형으로 만든 것으로, 조끼허리를 달아 치마가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활동하기에 편리함
2. 풀치마(자락치마)
- 치마폭의 한 자락을 박지 않아 펼쳐지게 한 것으로, 길이는 입어서 발등에 닿는 정도임
- 풀치마 여미는 방법 :오른쪽 자락이 겉자락이 되도록 하여 왼쪽이 트이게 여미며, 겉자락이 등 너비의 2/3 정도 겹쳐지도록 하여 입음
1. 저고리의 종류
민저고리 |
|
회장저고리 |
|
색동저고리 |
|
2. 옷고름 매는 방법
※ 고 :옷고름이나 끈 등의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한 가닥을 고리처럼 맨 것
1. 두루마기
- 봄, 가을, 겨울에 입는 옷으로, 방한과 예의의 목적으로 입음
- 저고리와 비슷하나 길이가 무릎 아래로 내려올 정도로 길며, 겨드랑이에 무를 달아 폭을 넓혀 활동하기에 편함
- 홑두루마기, 겹두루마기, 솜두루마기가 있음
- 여자는 실내에서 두루마기를 입지 않음
- 치마와 대비되는 색을 많이 사용함
2. 배자
- 조끼 모양으로, 방한용으로 저고리 위에 입음
- 안쪽에 털을 대며, 깃이 곡선이고 좌우 대칭임
3. 마고자
▶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으로, 형태는 저고리와 비슷하나 깃과 고름이 없음
4. 버선
- 버선은 홑버선, 겹버선, 솜버선 등이 있음
홑버선 |
한 겹으로 된 버선으로, 겹버선이나 솜버선 위에 덧신어 속에 신은 버선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버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해 줌 |
겹버선 |
솜을 대지 않고 겹으로 만든 버선 |
솜버선 |
안에 솜을 두어 두껍게 만든 버선으로, 방한뿐만 아니라 발의 모양을 곱게 만들어 줌 |
- 버선 신는 방법 : 수눅의 시접이 바깥쪽으로 가도록 좌우를 구분한 다음, 수눅선이 엄지발가락과 둘째 발가락 사이에 놓이도록 약간 안쪽으로 기울여 신음
관련문제
문제
01
저고리의 옷고름을 매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. 다음 글 중에서 옳지 않은 내용은?
<보기>
㉠ 긴 고름을 위로, 짧은 고름을 아래로 가도록 놓고, ㉡ 짧은 고름을 긴 고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당겨 맨다. ㉢긴 고름을 접어 왼쪽으로 고를 내고, ㉣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아 고와 묶음 사이로 뺀다. ㉤ 고의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고, 고와매듭을 정리한다. |
선택지
① ㉠
② ㉡
③ ㉢
④ ㉣
⑤ ㉤
정답 :
①
해설 :
저고리 고름 매는 방법은 긴 고름을 아래로, 짧은 고름을 위로 가도록 놓고 맨다.
문제
01
여자 한복 저고리의 명칭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?
<보기>
선택지
① ㉠:화장
② ㉡:고대
③ ㉢:도련
④ ㉣:진동
⑤ ㉤:섶
정답 :
⑤
해설 :
㉠은 고대, ㉡은 화장, ㉢은 동정, ㉣은 배래, ㉤은 섶이다.